「2025 KAPRA & KPS/DPP Conference」 연사 소개(Updated 2025-06-11)
작성자 : 관리자   작성일 : 2025-05-12   조회수 : 924
파일첨부 :
{{item.name}}

 대중강연

- 강연일정: 7 2() 13:20 ~ 14:20

-    

"외계생명체와 일상생활의 에너지 "

  곽 재 식 작가, 숭실사이버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교수



 해외연사 초청강연

강연일정: 7 2()  14:40 ~ 16:10

- 좌      장:  황 용 석  교수 (서울대학교)

      :

  "​Tokamak Plasma Merging Experiments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Their Extension to Burning Plasma Experiments"

   Yasushi Ono 교수 (The University of Tokyo)

  "​Next Step Advanced and Reliable Modeling of Magnetic Fusion Plasmas with Test Reactor Designs on the Horizon"

   장 충 석 교수 (Princeton University)



 기조강연

- 강연일정: 7 2() 16:30 ~ 18:00

- 좌      장:  추 용  교수 (KENTECH)

-     :

"​글로벌 에너지 안보를 위한 핵융합에너지 개발전략과 한국의 도"

  오 영 국  원장 (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)

"핵융합 상용 가속화를 위한 핵융합로 소형화의 "

  황 용 석  교수 (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)

"KENTECH의 핵융합 연구 현황 및 향후 계획"

  임 병 수  교수 (KENTECH 에너지공학부)


강연일정: 7 3(목) 09:00 ~ 10:40

- 좌      장:  김 한 성  박사 (한국원자력연구원)

    :

"RAON 2단계 초전도 중이온 가속기의 선행 R&D 현황

  조 용 섭  단장 (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연구소 가속기구축사업단)

"Current Status and Future Plans of Korea-4GSR"

  신 승 환  단장 (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다목적방사광가속기구축사업단)

"KOMAC 양성자가속기 운영현황"

  권 혁 중  부장 (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 가속기개발연구부)

"Development of Vertical Polarization Undulator"

  김 창 범  책임연구원 (포항가속기연구소)


강연일정: 7 3(목) 10:55 ~ 11:45

- 좌      장:  서 준 호  교수 (전북대학교)

    :

"플라즈마기술연구소 연구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"

  최 용 섭  소장 (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)

"키워드로 살펴보는 반도체 장비 트랜드와 플라즈마 기술"

  강 우 석  센터장 (한국기계연구원 반도체장비연구센터)

 


 초청연사

ThA1. Future of Fusion

강연일정: 7 3() 13:20 - 15:00

- 좌      장:  김 선 호 박사 (KAERI)

    :

"스텔라레이터 - 숨은 대칭성과 가능성"

  박 종 규  교수 (서울대학교)

"KAIMIR : A Magnetic Mirror Device at KAIST"

  성 충 기  교수 (KAIST)

“실증로 연소 플라즈마를 위한 진단”

  윤 건 수  교수 (POSTECH)

"KSTAR 연구 현황 및 계획"

  남 용 운  본부장 (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 KSTAR연구본부)

 

 ThB1. Plasma Gas Treatment  

강연일정: 7 3() 13:20 - 14:40

- 좌      장:  김 지 훈 책임연구원 (KFE)

    :

3 AC Arc System 을 이용한 수소 생산”

   영 훈  이사 (다원시스)

“고전력 유도결합 플라즈마 소스(ICP Source) 기술과 응용  저압에서 대기압까지반도체 산업에서 에너지/환경 산업까지”

  엄 세 훈  대표이사 (인투코어테크놀로지)

“플라즈마 스크러버의 AI 시스템 적용” 

  박 인 선  연구실장 (뉴파워플라즈마)

“수소가스 기반 고엔탈피 아크 플라즈마 반응기 개발"

강 홍 재  선임연구원 (한국기계연구원)


ThB2. Plasma Material Processing

강연일정: 7 3() 15:00 - 16:20

- 좌      장:  최 수 석 교수 (제주대학교)

    :

"고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재 개발 응용 (연구내용중심)"

  손 병 구 본부장 (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)

“전고체용 열플라즈마 응용 Si 음극재의 전망”

  정 인 범  대표이사 (BSG Materials)

Novel Manufacturing Process for Composite Materials by APS"

권 식 철  기술고문 (BST)

"Computational Modeling of Thermal Plasma Processes with gas mixtures"

  박 훈 관  책임연구원 (한국재료연구원)

 

FrA1. Accelerator Session

강연일정: 7 4(금) 09:00 - 10:30

- 좌      장:  권 혁 중 부장 (KAERI)

    

“첨단 반도체 공정용 고전류 저에너지 이온 임플란터 빔라인 설계”

김 동 환  선임연구원 (한국원자력연구원)

"PAL-XFEL Fresh-slice FEL 연구 및 MeV-UED 소개"

  성 창 규  연구원 (포항가속기연구소)

"Development of Segmented Capillary Plasma Waveguide for Laser Wakefield Acceleration"

  남 인 혁  교수 (UNIST)


FrB1. Recent Issues in Thermal Plasmas

강연일정: 7 4() 09:00 - 10:20

- 좌      장:  최  용 섭  소장 (KFE)

    :

 “아크 플라즈마 토치 기반의 메탄 열분해를 통한 수소 및 탄소나노재료 생산과 배터리 전극재료 적용”

  최 수 석  교수 (제주대학교)

 “새로운 나노구조체 및 암모니아 기반 수소 생산을 위한 열플라즈마 공정"

  김 태 희  교수 (원광대학교)

“대기압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가스화 연구"

  김 지 훈  책임연구원 (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)

"재진입 우주수송체 열방호를 위한 탄소/페놀 복합재의 고엔탈피 열유동 실험"

  신 재 성  교수 (한국항공우주연구원)

 

FrA2. 플라즈마 기술의 산업적 응용

강연일정7 4() 10:40 - 12:00

- 좌      장:  정 경 재  교수 (서울대학교)

    :

TBA

이 해 준  교수 (부산대학교)

“지향성 이온빔 공정에서 저압 플라즈마 소스의 적용과 개발”

  유 신 재  교수 (충남대학교)

“플라즈마 기술의 국방 응용과 발전방향”

  정 희 수  박사 (국방과학연구소)

 

FrB2. Young Scientists in Thermal Plasmas

강연일정7 4() 10:40 - 12:00

- 좌      장:  김 태 희 교수 (원광대학교)

    :

"고엔탈피 열유동 내 세라믹 복합소재 열/삭마거동 모델링"

  송 문 원  교수 (전북대학교)

물 플라즈마 기반 차세대 수처리·수소 생산 기술"

  김 순 호  선임연구원 (한국생산기술연구원)

“유도결합 열플라즈마 기반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나노입자 합성"

민 병 일  박사 (한국재료연구원 극한재료연구소)

“열플라즈마 공정 기반 청록수소 생산 기술 개발”

오 정 환  선임연구원 (주식회사 엔클라이)

 Updated 2025-06-11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이전글 「2025 KAPRA & KPS/DPP Conference」행사장 인근 숙소 안내
다음글 「2025 KAPRA & KPS/DPP Conference」 포스터